[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] 섹션 1. 인터넷 네트워크
·
💻/HTTP
IP(Internet Protocol)클라이언트 - 인터넷 - 서버→ IP 주소 부여 (클라이언트: 100.100.100.1/ 서버: 200.200.200.2)역할지정한 IP주소(IP Address)에 데이터 전달패킷(Packet)이라는 통신 단위로 전달(IP 패킷(규칙): 출발지 IP, 목적지 IP, 기타) + 메시지(전송 데이터)한계비연결성패킷 받을 대상 X or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ex. PC 꺼져 있음/ 거기 안살고 있어도 우편 보냄⇒ 대상 서버가 패킷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모름비신뢰성중간에 패킷이 사라지면?ex. 멧돼지가 광케이블 끊음⇒ 패킷 소실패킷이 순서대로 안오면? (약 1500백 바이트로 끊어서 보냄)ex. 클라이언트) 1. Hello,/ 2. world! → 서버) 2. ..
[Spring Boot 3.x 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] 섹션 1. Spring Boot로 개발하는 RESTful Service
·
💻/HTTP
Spring Boot스프링으로 작성된 단독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최소한의 설정으로 스프링의 플랫폼과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됨웹 어플리케이션 서버(WAS)인 Tomcat 등 내장-> 실행 위해 별도의 서버 설치 X => 스프링 부트 실행 ->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스프링 부트 어플리케이션 -> 웹 어플리케이션 아카이브(WAR) 형태로 패키징 => 별도의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배포 가능(기존) IoC, AOP 작업 -> 별도의 XML 파일에 설정 내용 추가 or 어노테이션 @SpringBootApplicationpublic class MyRestfulServicesApplicatio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..
kimmeoww
'💻/HTTP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2 Page)